센터소식

전남도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사업 본궤도
전남어촌특화지원센터
날짜 2019-03-11 조회수 243
1000억원 규모의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전남도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선정된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 전담팀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관계기관 전담팀은 전남도 주관으로 해양수산부와 목포시 등이 참여한다. 앞으로 사업계획을 수립·조정해 기획재정부와 KDI(한국개발연구원)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에 대응한다. 사업비 편성과 행정안전부의 투자 심사 등 각종 행정절차 업무도 맡는다. 수산식품 수출단지는 지역 수산식품 산업을 고도화하려는 전남의 수출 전략 마스터플랜 핵심 사업이다. 특히 전남도가 해양수산 융복합 벨트 조성사업의 하나로 추진하는 역점사업으로 꼽힌다. 전남도 해양수산 융복합 벨트는 총사업비 5307억원을 들여 신산업 육성, 가공유통 고도화, 생산기반 강화, 어촌 6차 산업화 지원, 연구개발 클러스터 구축 등 4개 분야 19개 사업을 추진한다. 수출단지 조성은 김 산업연구소, 수산 기자재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과 함께 융복합 벨트의 핵심사업이다. 여기에는 국비 700억원 지방비 300억원 등 1000억원을 투입한다. 목포 대양산단 부지 2만3000㎡에 건축면적 1만4000여㎡ 규모 단지를 조성해 수산물 가공시설 60실, 유통을 위한 냉동·냉장창고, 물류창고, 관리시설 등을 갖춘다. 여기에 창업지원 시설과 연구개발 시설도 함께 들어선다. 이는 중국과 동남아 시장을 겨냥한 대규모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으로 지역 수산업과 경제를 활성화하는 기반 인프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전남이 수산물 생물 생산 전국 1위이면서 수산 가공물 생산과 유통은 타지역에 뒤처지는 현상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 아래 마련됐다. 하지만, 사업계획이 발표된 지 3년이 지난 뒤에도 예타 조사 등으로 별다른 진척이 없었지만, 최근 정부의 예타 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인 사업 추진이 이뤄지게 됐다. 수산식품 수출단지가 구축되면 기업 유치 60개사, 취업 유발 1천430명, 생산 유발 2천235억 원, 부가가치 창출 734억 원의 효과가 따를 것으로 전남도는 기대하고 있다. 양근석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수산식품 수출단지가 집약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수산식품 산업의 메카로 육성되도록 전담팀을 통해 관계기관과 함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일보/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보도자료 게시글 상세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