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뉴딜 300’ 전남형 모델 발굴
전남어촌특화지원센터
날짜 2018-03-08
조회수 292
전남도가 해양수산부 핵심 정책과제인 ‘어촌뉴딜 300’ 사업에 맞춰 전남형 모델을 발굴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어촌뉴딜 300’ 사업은 소규모 어항·포구 300곳을 선정해 시설 현대화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 균형발전을 실현하는 프로젝트다.
투자 대상 300곳을 선정해 ▲어촌관광 수요 창출형 ▲해상교통시설 정비형 ▲해양재난사고 대응형 ▲이용자 안전시설 보강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눠 국가재정을 투입한다.
어촌관광 수요 창출형은 레저선박 전용 계류시설 확충, 유서 깊은 항·포구 복원 등이, 해상교통시설 정비형은 여객선 접안시설 개선 및 현대화, 여객편의시설 확충 등이 추진된다. 해양재난사고 대응형은 연안 구조정 전용 접안시설 설치, 출동 항로 확보 등이, 이용자 안전시설 보강형은 ICT 기반 지능형 CCTV 확대 구축 및 안전난간 시설 등이 추진된다.
전남도는 전국 1294개 대상지 가운데 전남이 883곳(68.2%)을 차지하는 점 등을 고려해 선제 대응에 나섰다. 각 시·군 신청을 받아 완도 42곳, 진도 32곳, 신안 27곳, 고흥 14곳 등 모두 160개 항·포구를 사업 대상지로 선정해 달라고 해수부에 건의했다.
앞서 지난 1월에는 관광, 휴양, 레저, 친수공간 등 기능별 전략을 담은 세부 추진계획을 세웠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광주전남연구원 등이 참여한 전문가 분과위원회도 운영한다. 분과위는 자문그룹으로 지역 어업인 요구사항이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양근석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항·포구 정비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예산 등 문제가 있어 국비 지원이 시급하다”며 “어업인 삶의 터전에 활력을 불어넣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되도록 대상지 선정 등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일보/박정욱기자 jwpark@kwangju.co.kr